@Autowired - 자동주입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tx {
@Bean
public MemberDao memberDao() {
return new MemberDao();
}
@Bean
public ChangePasswordService changePwdSvc() {
ChangePasswordService pwdSvc = new ChangePasswordService();
pwdSvc.setMemberDao(memberDao()); // 의존성 직접 주입
return pwdSvc;
}
}
요즘은 스프링 부트와 함께 의존 자동 주입(@Autowired)를 기본으로 사용하는 추세다.
의존성 자동 주입은 매우 간단하다. 의존을 주입할 대상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끝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tx {
@Bean
public MemberDao memberDao() {
return new MemberDao();
}
@Bean
public ChangePasswordService changePwdSvc() {
ChangePasswordService pwdSvc = new ChangePasswordService();
// 의존성 주입 코드가 사라졌다.
return pwdSvc;
}
}
public class ChangePasswordService {
@Autowired
private MemberDao memberDao;
...
public void setMemberDao(MemberDao memberDao) { // 쓸모가 없어졌다.
this.memberDao = memberDao;
}
}
필드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붙으면 설정 클래스에서 의존을 주입하지 않아도 스프링이 알아서 데이터타입이 일치하는 Bean 객체를 찾아 할당한다.
필드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붙은 경우 MemberDao
주입에 대한 setter 메서드도 필요가 없어진다.
@Autowired
어노테이션은 필드 뿐만 아니라 생성자, 메서드 위에도 붙일 수 있다.
public class ChangePasswordService {
private MemberDao memberDao;
...
@Autowired
public void setMemberDao(MemberDao memberDao) {
this.memberDao = memberDao;
}
}
public class ChangePasswordService {
private MemberDao memberDao;
@Autowired
public ChangePasswordService(MemberDao memberDao) {
this.memberDao = memberDao;
}
...
}
생성자의 경우 조금 더 특별하게, 생성자가 1개일 경우에 한해서 @Autowired
를 생략할 수 있다.
public class ChangePasswordService {
private MemberDao memberDao;
public ChangePasswordService(MemberDao memberDao) {
this.memberDao = memberDao; // 어노테이션이 없지만, 있는 것과 같은 효과
}
...
}
@Autowired - 중복관계
데이터 타입에 일치하는 Bean이 컨테이너에 없는 경우
간단하다. Exception이 발생하면서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 스프링은 컨테이너에 등록된 Bean 객체끼리만 상호작용을 시키기 때문에, 컨테이너에서 Bean 객체를 발견하지 못할 경우 곧바로 Exception을 던진다.
데이터 타입에 일치하는 Bean이 2개 이상인 경우
역시 Exception이 발생하면서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 스프링은 독단적으로 하나의 Bean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이 경우 @Qualifier 어노테이션을 통해 의존 객체를 지정해주어야 한다.
@Qualifier
데이터 타입이 일치하는 Bean이 2개 이상이어도 @Qualifier
어노테이션을 통해 의존 주입이 가능하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tx {
@Bean
@Qualifier("ExampleNameMemberDao") // "이 별명으로 호출할거야!" 라고 @Qualifier 선언
public MemberDao memberDao1() {
return new MemberDao();
}
@Bean
public MemberDao memberDao2() {
return new MemberDao();
}
}
public class ChangePasswordService {
private MemberDao memberDao;
@Autowired
@Qualifier("ExampleNameMemberDao")
public ChangePasswordService(MemberDao memberDao) {
this.memberDao = memberDao;
}
...
}
@Qualifier
어노테이션을 통해 설정한 이름과 일치하는 Bean 객체를 찾아 주입을 진행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tx {
@Bean
@Qualifier("ExampleNameMemberDao")
public MemberDao memberDao1() {
return new MemberDao();
}
@Bean // 아무런 별명이 설정되지 않음
public MemberDao memberDao2() {
return new MemberDao();
}
}
public class ChangePasswordService {
private MemberDao memberDao;
@Autowired
@Qualifier("memberDao2")
public ChangePasswordService(MemberDao memberDao) {
this.memberDao = memberDao;
}
...
}
@Configuration
파일 쪽에 @Qualifier
를 선언하지 않고, 주입 받는 쪽에만 @Qualifi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해도 주입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때 사용되는 이름은 Bean 객체 메서드의 기본 이름이다. (우리는 이전에 @Configuration
파일에 선언된 Bean 객체 메서드의 이름이 Bean의 이름이 된다는 것을 공부했다!)
즉,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빈 메서드 이름이 할당되어 있지만, @Qualifier
어노테이션이 이름의 우선권을 가져가는 형태다.
빈 이름 | @Qualifier 선언 | @Qualifier 호출 |
---|---|---|
memberDao1 | ExampleNameMemberDao | ExampleNameMemberDao |
memberDao2 | - | memberDao2 |
@Qualifier
어노테이션은 @Autowired
가 사용되는 필드와 메서드, 생성자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Autowired - 상속(인터페이스)관계
상속 관계에 있는 Bean 객체끼리는 어떨까? 자바에서 상속 관계에 있는 객체를 동일하게 판단하는 것처럼, Spring Bean 객체 역시 상속 관계에 있으면 동일한 Bean 객체로 판단하고 예외를 던진다.
public class MemberSummaryPrinter extends MemberPrinter {
@Override
public void print(Member member) {
System.out.printf("회원 정보: 이메일=%s, 이름=%s\n", member.getEmail(), member.getName());
}
}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tx {
@Bean // 서로 같은 Bean으로 취급되어 예외 발생!
public MemberPrinter memberPrinter1() {
return new MemberPrinter();
}
@Bean // 서로 같은 Bean으로 취급되어 예외 발생!
public MemberSummaryPrinter memberPrinter2() {
return new MemberSummaryPrinter();
}
}
상속(혹은 인터페이스)관계의 Bean이 단 1개만 존재할 경우, 예외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주입이 진행된다.
public class Car {
private final Engine engine;
@Autowired
public Car(Engine engine) {
this.engine = engine;
}
}
public class RacingCarEngine implements Engine {
@Override
public void running() {
...
}
}
위 예시 코드처럼 Engine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현체 Bean이 RacingCarEngine
딱 1개인 경우, 별도의 설정 없이도 자동 주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 진다.
혹은 중복관계의 Bean 처리방법과 같이 @Qualifi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해결 할 수도 있다.
@Autowired - 주입 강제
@Autowired
어노테이션은 주입이 꼭 필요하지 않은 객체에게도 주입을 무조건 시도한다.
때문에 해당 Bean이 준비된 상태가 아니라면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못하고 Exception을 발생시키게 된다.
Bean 주입이 필수가 아닌 경우(Null을 허용할 경우)에는 @Autowired
에노테이션에 required 속성을 추가하여 사용하면 된다.
public class MemberPrinter {
private DateTimeFormatter dateTimeFormatter;
public void print(Member member) {
...
}
@Autowired(required = false)
public void setDateFormatter(DateTimeFormatter dateTimeFormatter) {
this.dateTimeFormatter = dateTimeFormatter;
}
}
@Autowired(required = false)
를 사용하면 주입되는 Bean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주입을 시도하고, 없을 경우 주입을 시도하지 않는다.
스프링 5 버전 이후부터는 @Autowired(required = false)
속성 대신에 자바8의 Optional
을 사용할 수도 있다.
public class MemberPrinter {
private DateTimeFormatter dateTimeFormatter;
public void print(Member member) {
...
}
@Autowired
public void setDateFormatter(Optional<DateTimeFormatter> dateTimeFormatter) {
this.dateTimeFormatter = dateTimeFormatter;
}
}
또, @Nullable
어노테이션으로 Optional
을 대체할 수도 있다.
public class MemberPrinter {
private DateTimeFormatter dateTimeFormatter;
public void print(Member member) {
...
}
@Autowired
public void setDateFormatter(@Nullable DateTimeFormatter dateTimeFormatter) {
this.dateTimeFormatter = dateTimeFormatter;
}
}
` @Autowired(required = false) 와
@Nullable` 의 차이점은 주입 시도 유무다.
- ` @Autowired(required = false)` : 해당하는 Bean이 없는 경우 주입 시도도 안함
Optional
: 해당하는 Bean이 없으면 값이 없는 Optional 주입을 시도함@Nullable
: 해당하는 Bean이 없으면 Null을 인자로 주입을 시도함
3가지 방법들의 행동 특성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경우가 존재한다.
public class MemberPrinter {
private NonBeanFormatter nonBeanFormatter; // Configuration 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객체
public MemberPrinter() {
nonBeanFormatter = new NonBeanFormatter();
}
@Autowired // 기본 생성자로 등록한 객체를 Null로 지워버린다.
public void setDateFormatter(@Nullable NonBeanFormatter nonBeanFormatter) {
this.nonBeanFormatter = nonBeanFormatter;
}
}
기본 생성자를 통해 NonBeanFormatter
객체가 주입되었지만, @Autowired - @Nullable
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주입되었던
NonBeanFormatter
객체가 지워지고 Null이 주입되게 된다.
위에서 이야기된 3가지 방법은 메서드뿐만 아니라 생성자, 필드 주입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Autowired - 자동 주입과 수동 주입의 관계
@Configuration
클래스에서 이미 의존을 주입했는데,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추가로 붙이면 어떻게 될까?
결론은 간단하다.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우선권을 가져서 @Autowired
어노테이션의 주입으로 결정된다.
@Confioguration
public class AppCtx {
@Bean
@Qualifier("printer")
public MemberPrinter memberPrinter1() {
return new MemberPrinter();
}
@Bean
@Qualifier("summaryPrinter")
public MemberSummaryPrinter memberPrinter2() {
return new MemberSummaryPrinter();
}
@Bean
public MemberInfoPrinter infoPrinter() {
MemberInfoPrinter infoPrinter = new MemberInfoPrinter();
infoPrinter.setPrinter(memberPrinter2()); // 명시적으로 주입
return infoPrinter;
}
}
public class MemberInfoPrinter {
private final MemberPrinter memberPrinter;
@Autowired
@Qualifier("printer") // 그러나 Autowired 자동 주입으로 인해 memberPrinter1 으로 변경된다.
public void setPrinter(MemberPrinter printer) {
this.printer = printer;
}
}
자동 / 수동 주입을 섞어서 사용하면 헷갈리기만 할뿐 자동 주입이 우선권을 가지므로, 스프링이 제공하는 자동 주입 @Autowired
를 사용하자.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