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운영하다보면 서버가 핸들링 불가능한, 혹은 불필요한 요청이 끊임없이 들어온다. 크롤링 봇, 스팸 봇, 무분별한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 등… 이런 요청들은 서버의 컴퓨팅 자원을 낭비 시키고, 개발자에게는 불필요한 로그 알림 등 피로를 준다.
다행스럽게도 이러한 요청들은 대부분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패턴을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스프링 등)로 요청이 전달 되기 전 웹 서버(Nginx, AWS GW 등)에서 미리 차단을 할 수 있다.
이번에 들어온 스팸 요청도 OPTION /
(HTTP OPTION method + root path) 라는 패턴을 갖고 있었다.
계속해서 NoHandlerFoundException
이 발생하면서 에러 알림 지옥에 빠져있는 상태였다.
앞서 말했듯 웹 서버에서 미연에 차단하는게 베스트겠지만, 이번에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단해보고자 아래와 같은 고민들을 해보았다.
👮♂️ 1. 어디서 차단을 해야할까?
우선 간단하게 client 로부터 요청이 전달되는 과정에 대해 생각해보자.
client <-> filter <-> dispatcher servlet <-> interceptor <-> handler(controller)
이미 잘 알려져 있듯, client 로부터 spring application 까지 HTTP 요청이 전달되는 과정은 위 그림과 같다.
이 관계에서 dispatcher servlet 부터가 spring mvc 영역에 포함되고, filter 는 servlet container(e.g. tomcat) 의 영역이다.
요즘은 spring boot 를 많이 활용하다보니 tomcat 이 spring boot 내부에 내장(embedded tomcat)되어 있어서 filter 가 spring mvc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것 처럼 느껴질 수 있다.
각각 요소들은 아래와 같은 컨셉(역할)을 갖고 있다.
- filter: 요청이 dispatcher servlet 에 도달하기 전, 후에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 dispatcher servlet: 요청 경로(path) 에 따라 적절한 handler(controller) 를 찾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 interceptor: dispatcher servlet 에서 찾아진 handler 를 실행하기 전, 후에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즉 OPTION /
요청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는 filter, interceptor 중 하나가 된다.
만약 interceptor 에서 OPTION /
요청을 확인하고 차단을 하게 된다면, filter 와 dispatcher servlet 을 모두 거쳐야 하므로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커진다.
때문에 filter 영역에서 custom filter 를 만들어 차단을 진행하는 것이 이상적으로 보인다.
아래와 같이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라는 이름의 custom filter 를 만들어 요청을 차단하면 될 것 같다.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는 OPTION /
요청이 전달되면 METHOD_NOT_ALLOWED
상태 값을 곧바로 응답하고,
그 외에는 다음 filter 에게 동작을 일임하도록 구성했다.
그렇다면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는 정확하게 어떤 포인트에서 위치 시키는 것이 좋을까?
이를 결정하기 위해선 filter 의 구조를 이해해야겠다.
👮♂️ 2. filter 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servlet 과 spring mvc 영역을 조금 더 확대해서 살펴보자.
client 로부터 전달된 요청은 servlet container 의 filter chain 들을 거쳐 spring mvc 의 dispatcher servlet 까지 도달한다. filter chain 은 여러개의 filter 들이 연결된 구조로, 각 filter 들은 순차적으로 요청을 처리하고, 다음 filter 로 요청을 전달한다. 아마도 spring security 를 한번이라도 사용해봤다면, filter chain 의 구조를 어느정도 알고 있을 것이다.
실제로 org.apache.tomcat.embed:tomcat-embed-core
라이브러리를 탐색하면 filter 가 chain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는 걸 유추할 수 있다.
core 패키지 내부 ApplicationFilterChain
클래스 internalDoFilter
메서드를 확인해보면
요청이 전달될 때 어떤 필터들을 거치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4번째 인덱스에 SpringSecurityFilterChain
의 DelegatingFilterProxy
필터가 눈에 들어온다.
spring security 역시도 filter chain 사이에 껴서 chain 중 하나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pring security 부분까지 조금 더 해상도를 올려서 표현해보면 위 그림과 같아진다. 물론 spring security filter 도 마찬가지로 한가지가 아닌 여러가지 보안과 관련된 정책을 나누어 관리하므로, 해상도를 한 단계만 더 높이면 아래 그림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실제로 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web
라이브러리를 탐색해보면 DelegatingFilterProxy
, FilterChainProxy
클래스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FilterChainProxy
클래스 getFilters()
메서드를 확인해보면 어떤 보안 관련 filter 들을 기본적으로 활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spring-security-web:6.6.14
기준으로는 DisableEncodeUrlFilter
를 필두로 filter 들이 chaining 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 3. 그럼 spring security filter chain 에 연결하면 될까?
spring security 에서 가장 먼저 동작하는 filter 가 뭔지(DisableEncodeUrlFilter
)도 파악했겠다,
편의를 위해 addFilterBefore
, addFilterAfter
와 같은 메서드도 제공해주니 곧바로 DisableEncodeUrlFilter
앞에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를 위치 시키는 것도 좋아보인다.
그러나 앞서 아래와 같은 이야기를 했다.
만약 interceptor 에서
OPTION /
요청을 확인하고 차단을 하게 된다면, filter 와 dispatcher servlet 을 모두 거쳐야 하므로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커진다. 때문에 filter 영역에서 차단을 진행하는 것이 이상적으로 보인다.
spring security 는 앞선 4개의 filter(characterEncodingFilter
, webMvcObservationFilter
, formContentFilter
, requestContextFilter
)를
거치고 나서야 동작하게 되는 filter 다. DisableEncodeUrlFilter
앞에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를 추가할 경우 매번 4개의 filter 를 거쳐서야
“엇, OPTION /
요청이네? 거절해야지.” 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legatingFilterProxy
, FilterChainProxy
를 거친다는 것까지 계산한다면…)
게다가 spring security filter chain 은 이름 그대로 보안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filter 들의 집합체다.
보안과 크게 관련없는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를 spring security filter chain 에 위치시킬 경우
추후 유지보수를 진행할 다른 개발자가 filter 의 의미를 잘못 해석(“OPTION /
요청 관련해서 보안 이슈가 있었나?”)할 위험이 존재한다.
👮♂️ 4. 그래서, 어디에 연결할까?
사실 이 단계까지 왔다면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의 목적지는 명확해진다.
servlet filter chain 전체에서 가장 첫 번째로 수행되는 filter 를 찾아내고, 그 filter 보다 먼저 수행되도록 하면 된다.
즉, 첫 번째 filter 를 찾아내면 된다.
그리고 이 글에서는 앞선 디버깅 과정에서 어떤 filter 들이 chain 을 구성하고 있는지 눈으로 확인했다.
바로 CharacterEncodingFilter
다.
CharacterEncodingFilter
를 순서를 결정해 주입하는 클래스는 OrderedCharacterEncodingFilter
다.
OrderedCharacterEncodingFilter
를 확인해보면 최우선 순위를 갖기 위해 Integer.MIN_VALUE
를 사용하는 걸 볼 수 있다.
이미 spring boot 에서 기본 filter 에 최우선 순위를 할당해두었는데, 어떻게 CharacterEncodingFilter
앞에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를 위치시킬 수 있을까?
👮♂️ 5. filter chain 맨 앞에 새로운 filter 추가하기
의외로 해법은 간단하다. CharacterEncodingFilter
와 동일한 최우선 순위 Integer.MIN_VALUE
를 할당해주면 된다.
(org.springframework.core.Ordered.HIGHEST_PRECEDENCE
의 값은 Integer.MIN_VALUE
다.)
어떻게 동일한 최우선 순위를 주어도 CharacterEncodingFilter
보다 앞에 OrderedCharacterEncodingFilter
를 위치시킬 수 있을까?
spring 은 사용자가 명시한 custom bean 에 대해 먼저 등록을 진행하고, 이후 auto configuration 등을 통해 선언된 bean 을 등록한다.
spring context 초기화 과정에서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가 먼저 등록되고, 이후 CharacterEncodingFilter
가 등록된다.
그 후 order
를 기반으로 우선 순위 정렬을 진행하지만,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와 CharacterEncodingFilter
는 서로 값이 같기 때문에 순서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다.
실제로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의 우선 순위를 Integer.MIN_VALUE
로 주느냐, Integer.MIN_VALUE + 1
로 주느냐에 따라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와 CharacterEncodingFilter
간 순서가 달라진다.
👮♂️ 6. 결과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등록을 마친 후 OPTION /
요청을 보내면
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
에서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가 먼저 동작하는 걸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에 설정해두었 듯, 405 Method Not Allowed
상태 코드를 응답이 돌아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덕분에 가장 최진입점부터 OPTION /
요청을 차단하고 알림지옥으로부터 탈출 할 수 있었다!
👮♂️ 번외. filter 중복 호출 방지
여기까지 오고 나면 OptionsMethosRootPathRequestFilter
와 같은 filter 들도 모두 spring bean 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간편하게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통해 bean 으로 등록해도 될 것 같은데, 굳이 번거롭게 OncePerRequestFilter()
를 상속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크게 2가지 이유가 있다.
- redirect 가 진행될 때 filter 중복 호출 방지
- 개발자의 실수 방지
첫 번째 이유의 경우 예외 발생 등의 이유로 http redirect 가 발생할 경우, 첫 filter 부터 다시 호출이 시작되어 중복 filter 호출이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 이유의 경우, 개발자가 filter 를 @Component
로 등록하고, addFilterBefore
, addFilterAfter
메서드를 통해 filter 를 추가할 경우
동일한 filter 가 2회씩 spring bean 으로 등록되어 중복 호출이 발생할 수 있다.
@Component
어노테이션 등으로 spring bean 등록된 Servlet
, Filter
, Listener
인스턴스들은 servlet container 에 자동 등록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OncePerRequestFilter()
를 상속받아 filter 를 구현하여 명시적으로 ‘한 번만 호출되어야 한다’ 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중복 호출을 방지해주는 것이 좋겠다.
References
- https://docs.spring.io/spring-boot/api/java/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FilterRegistrationBean.html?utm_source=chatgpt.com
- https://docs.spring.io/spring-boot/reference/web/servlet.html#web.servlet.embedded-container.servlets-filters-listeners.beans
- https://www.baeldung.com/spring-onceperrequestfilter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