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용근님의 우아한 멀티 모듈 세미나를 보고 정리한 내용

♟️ MSA? 멀티 모듈?

모놀리틱(Monolithic) 아키텍쳐

image

하나의 서비스에서 API, ADMIN, BATCH, WEB, DB 등이 관리되는 구조를 모놀리틱 아키텍쳐라 부른다.

image image

모놀리틱 아키텍쳐는 크게 단일 모듈 멀티 프로젝트와 멀티 모듈 단일 프로젝트로 나뉜다.

MSA

image image

서비스가 내부적으로 받는 도메인 단위를 상세하게 분리하고 그 안에 격리되는 집군들(서비스)을 구상한 방식을 MSA라고 부른다.

멀티 모듈과 MSA가 함께 거론되는 이유

image image image

멀티모듈의 역할, 의존성 분리를 통해 시스템의 분리와 통합을 유연하게 만들어주는 좋은 아키텍쳐를 만들 수 있다. 즉, 멀티 모듈을 활용해 역할과 의존성을 잘 분리할수록 모놀리틱 <-> MSA간 전환이 용이하며, 용이해야지만 좋은 아키텍쳐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멀티 모듈과 MSA가 함께 자주 거론된다.


♟️ 멀티 모듈

단일 모듈 멀티 프로젝트

image

  • 각각의 프로젝트 단위
    • IDE를 쓴다면 3개의 IDE 화면을 띄워둔 상태로 개발을 진행하는 형태
  • Member 라는 클래스가 공유(중복)되고 있다.
    • member-internal-api에서 Member가 수정되면 나머지 프로젝트에도 복붙
    • 잘못 옮길 경우 곧바로 장애로 이어짐
  • “사람에게 굉장히 의존하는 형태구나” 하고 느낌

단일 모듈 멀티 프로젝트 + 내부 Maven 저장소

image

  • Nexus라는 사설 Maven Repository를 만들어서 각각의 프로젝트에서 공유하고 있는 DTO나 도메인 클래스들을 분리 후 프로젝트화 시켜서 Nexus에 업로드

image

  • 이렇게 하니 확실히 시스템적으로는 일관성을 보장 받음
  • 문제는 개발 사이클이 너무 번거로움
    • IDE를 4개 켜놓고 member-internal-api를 수정해서 Nexus에 배포를 하고 member-domain에서는 Nexus에 배포된 내용을 다운로드하고…
    • 기능 하나를 개발하는데 프로젝트를 왔다갔다 하는 리소스가 너무 많이 들고 개발에 집중하기 어려움

멀티 모듈 단일 프로젝트

image

  • 프로젝트는 하나고, 그 안에 여러 개의 모듈을 설치 가능한 방법을 찾게 됨
  • IDE도 1개만 사용하고 시스템적으로 보장되는 일관성, 빠른 개발 사이클을 확보할 수 있었음.
  • 이후 멀티 모듈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에서 겪은 문제점들이 생김.


♟️ 실패한 멀티 모듈 프로젝트

image image image

  • 처음엔 “멀티 모듈을 통해 공통되는 코드를 제거할 수 있겠다!” 라는 단순한 접근
  • 공통되는 로직을 분리해서 common(core)라는 모듈을 만듬

image image

  • 꼭 external-api, batch, internal-api 모두에서 중복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중복이 발생하면 분리해서 common 모듈에 포함시킴
  • ‘코드를 모듈화 한다 = 중복을 최소화한다’ 라는 생각으로 common에 추가 코드를 몰아 넣음

image image

  • common이 점차 커지면 common 안에서 비즈니스가 흐르기 시작함
  • 원래는 다른 모듈에 플로우를 추가해야하지만, 어쩔 수 없이 common에 플로우를 추가하는 사태가 발생
  • 결국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굉장히 날씬하고, common만 굉장히 큰 프로젝트로 구성됨
  • 이후 지옥이 펼쳐짐

스파게티 코드

image image image image

  • 200~300 개가 넘는 클래스가 서로를 의존하는 스파게티 코드
  • common을 분해하고 싶어도 분해가 불가능함
  • 특정 기능이 사라졌음에도 의존도가 너무 높아서 관련 클래스를 제거할 수 없음
    • A를 제거하려고 시도하면 common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전체가 오염됨

의존성 덩어리

image image image

  • common 모듈에서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할 수 있는 의존성을 모두 품게됨
  • 사용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의존을 하고 있어야함
  • 또 아래의 스프링부트 설정 등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은 설정 값이 트리거로 발동되어서 예기치 못한 에러를 발생시키는 상황이 발생함

SpringBoot AutoConfiguration 동작에 대한 설명

  • @ConditionalOnBean: 특정 Bean이 있을 때
  • @ConditionalOnMissingBean: 특정 Bean이 없을 때
  • @ConditionalOnClass: 특정 Class가 있을 때

image

  • 예시 상황
    • common 모듈에 dynamodb 의존성을 추가해 둔 상태.
    • batch 모듈은 webflux로 구현되어 있음
    • webflux는 기본적으로 netty를 띄움
    • 당연히 nettydb가 뜰 것이라 생각했지만,
      common 모듈의 daynamodb 의존성에 의해 jetty가 떠 있었음.

공통 설정

image image image

  •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할 때 각 모듈이 DB 커넥션을 필요로 하는 수가 다르다.
  • 때문에 하드하게 DB를 사용하는 모듈에는 커넥션을 많이 주고, 아닌 쪽엔 적게 주는 형태를 취하고 싶음
  • 그러나 common 모듈에 설정을 몰아둔 경우 모든 모듈이 그 설정을 따라감
  • DB는 커넥션을 더 이상 제공해줄 수 없어서 장애가 발생


♟️ 무엇이 문제였을까?

  • 모듈에 대한 정의가 모호했다.
  • 모듈화란 무엇일까? 무엇을 중심으로 정의를 내려야할까?
    • 역할과 책임이 명확하다면 좋은 모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 역할과 책임에 대한 범위는 어떻게 잡아야하지?

잘 되어있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염탐하자!

image image image

  • 뭔가 계층이 보인다.
  • 계층 내부에는 모듈이 하나씩 구성이 될 것이고, 계층간 의존적 흐름이 구성된다.
  • 그러나 개발자를 위한 라이브러리와 사용자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분명한 차이가 존재했다.
    •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사용성, 기능 제공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 “내가 직접 계층, 역할을 나누어 봐야겠다!”


♟️ 멀티 모듈 구성하기

주의사항

  • “시스템”
    •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라고 부른다.
    • 1개 이상의 “서비스”와 “공유 인프라”가 모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한다.
  •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도메인 비즈니스”

    주문요청 API

    1. 요청값 검증 (애플리케이션)
    2. 주문 요청 (애플리케이션)
      • 주문 데이터 생성 (도메인)
      • 주문 데이터 검증 (도메인)
      • 주문 데이터 저장 (도메인)
    3. 주문 결과 처리 (애플리케이션)
    4. 응답 (애플리케이션)
    • 서비스에 대한 플로우나 흐름을 제어하면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 도메인 단위에서 생성/변경/소멸의 라이프 사이클을 가지면 도메인 비즈니스
  • “새로운 시각” image image


♟️ 레이어 구상

image image

모듈은 역할이 분명해야 나올 수 있으므로 역할을 착실히 나누려고 노력했다.

image image image image


♟️ 내부모듈 계층

  • 시스템 안에서 의미를 갖는다.
  • 애플리케이션, 도메인의 비즈니스를 모른다.
  • 시스템과 주고 받는 스펙은 굉장히 명시적이다.
  • 문제는 그 명시적인 스펙을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걸쳐서 수행하게 된다면 불필요한 중복과, 스펙을 동기화 시키기 위한 사람 의존적인 일을 반복해야 한다.
  • 외부 시스템 변경에 대한 영향이 어디까지 퍼지는지 파악이 어렵다.
  • 그래서 떠올린 방법 ‘외부통신을 담당하는 모듈을 만들어보자’

image image image

  • 환경별 시스템의 호스트와 헤더 관리
  • 요청, 응답에 대한 스펙 관리
  • 예외 처리 추상화 수준 통일
    • 기존에는 어디서는 예외처리를 해서 넘기고, 어디서는 하지 않고 넘기고
    • 예외를 어디서 처리했는지에 대한 파악이 어려움
    • 무조건 예외처리를 한다/안한다 명확한 룰을 만들어서 모듈 작성
  • 내부 모듈로 분리
    • 역할이 분명함
    • 외부에 요청하는 비즈니스 로직만 품고 있음
    • 도메인과 거리가 멀다
    • 시스템에서 사용할 추상화 모듈을 정의하고 있다 (우리 시스템을 벗어나면 의미X)

image image

  • build.gradle
    • 외부 요청만 처리하기 때문에 정말 필요한 의존성만 추가

image image

  • application-cuduck.yml, CoduckClientProperties를 통해서 빈주입 등 설정
  • 요청에 대한 스펙과 응답에 대한 스펙을 CoduckClient에서 모두 정의
    • 클라이언트들의 공통 응답구조를 제네릭 형태(ClientResponse)로 만들어서 사용
    • 예외가 모듈 밖으로 절대 빠져나가지 않고 안에서 처리하도록 구성
    • 외부에서 이 모듈을 사용할 때는 예외를 핸들링하지 않고 ‘성공/실패’여부만 판단해서 비즈니스를 수행하도록

image

  • CoduckClientConfig
    • Coduck이라고 만들었던 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하는 과정
    • @ConditionalOnMissingBean 을 사용함
    • 사용하는 측에 변경의 여지를 주고 싶었다.
    • 나보다 상위 모듈에서 저 Bean을 정의하지 않았더라면 이 Bean을 띄운다
    • 하위에서 작성되는 대부분의 서비스나 클라이언트 모듈에서는 대부분이 상위에서 충분히 자기 마음껏 커스텀마이징을 할 수 있도록 여지를 줘야한다 생각함 (?)

내부 모듈을 구성해서 무엇을 얻었나?

image

  • 스펙 변경에 대한 단일 변경 포인트
  • 사용 추적이 용이하다


♟️ 도메인 모듈 계층

image image image image

  • 도메인 모듈이니까 도메인은 당연히 알고 있다.
  •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를 모른다.
  • 하나의 모듈은 최대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책임만 갖는다.
  • 도메인 모듈을 조합한 더 큰 단위의 도메인 모듈이 있을 수 있다.
  • 도메인 모듈을 구성할 떄는 객체지향 설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

image image

  • ‘도메인이 인프라스트럭쳐를 알아야하나?’
    • ‘아름다운 도메인 구성을 위해선 도메인이 인프라를 몰라야 한다’
    • ‘언제든지 인프라 구현체를 바꿀 수 있어야하지 않을까?’
  • 그러나 객체지향을 무조건 100% 다 지켜야하는가?를 고민해보아야 한다.
    • 순수성을 위해서 실용성을 포기하는건 어리석은 일이다.
    • 실제로 인프라스트럭쳐에 대한 탈바꿈이 일어날 일이 거의 없다.
    • 인프라와 도메인이 서로 모르는 상태로 존재하면 도메인 계층에 수많은 인터페이스가 생성된다.
    • 그러나 그 인터페이스들은 있으나 마나한 존재들이 된다.
    • 어중간한 모듈화가 중복코드보다 나쁘다.

image image

  • build.gradle
  • spring.yml

다중 도메인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 각각의 도메인을 모듈로 나눈다면, 인프라 구성만 하나 더 모듈로 나눈다
    • 각 도메인들 모듈들이 인프라 모듈을 사용하도록 구성
  • 한 단계 더 분리해서 ‘시스템’으로 분리하는 것 또한, 모듈이 잘 나누어져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가능

다중 인프라스트럭처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 DynamoDB는 프로비저닝을 사전에 대응하기 어렵다.
  • 각 시스템의 원자성 데이터를 raw하게 들고 있었다.
  • 그것을 Redis를 통해 한 계층 더 추상화를 진행한다
    • Key/Value로서 굉장히 쉽게 DB 조회가 가능해진다.
    • Redis에 없으면 Fallback으로 Dynamo에서 가져오고
    • Dynamo에서 가져올 땐 Redis에 Cache 하도록
  • 이것을 모듈로 구성할 떈 어떻게 할까?
    • 간단하게 하나의 모듈에 Redis와 Dynamo를 모두 넣을 수 있겠다.
  • 그러나 시스템에 따라 Redis를 꼭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 그럴 때 Redis를 억지로 갖게 한다면 Common 모듈과 다를게 없다.
    • 그래서 생각한게 ‘인프라스트럭처를 분리하자!’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 두 모듈간의 의존성을 완전히 분리하고 생각
  • Fallback, Cache는 어떻게 동작시키는가?
    • Domain Service Module이 의존해서 동작하도록
  • 이상적인 형태라면 각각에 인터페이스를 두어서 의존성을 살짝 분리하도록
    • 그렇게되면 인프라스트럭쳐 계층을 교체하기도 용이해진다.
    • 실용성이 떨어지는 부분이지만 말 그대로 ‘이상적’이니까


♟️ 독립 모듈 계층

image image image image

  • 시스템과 관련 없이 자체로서 독립적인 역할을 갖는다.
  • 떼어내서 오픈 소스로 업로드 해도 될 정도의 스펙을 가진 모듈
  • ‘Dynamo를 사용할 때 어떻게 JPA처럼 사용할 수 있지?’를 해결하기 위해 만듦
    • 인프라스트럭쳐 연동 사용성 제공
    • Object Mapping 기능 지원
    • Reactor 사용성 제공

image image

  • build.gradle
    • 시스템에 들어가는 어떤 것도 의존하지 않는다.
  • DynmoReactiveRepository.java
    • JPA 같은 사용성을 위해서 구현체를 만듦
  • 똑 떼어내서 오픈소스화를 해도 괜찮은 정도의 모듈이 완성된다.
    • 그러나 우리 시스템에는 필요한!


♟️ 공통 모듈 계층

image

  • 공통 모듈을 최대한 지양하고 싶었는데, 어쩔 수 없이 만들어짐
  • Type, Util 등을 정의한다.
    • 공용으로 사용되는 Enum 등
  • 대신에 공통 모듈에는 엄청 큰 제약을 걸어둔다.
    • 의존성을 절대 가져가지 않는다.
    • 자바를 순수하게 사용할 수 있는거 외에는 불가능하다.
    • (이것도 꼭 순수성을 지키기보단.. 실용성을 잘 따져보면서..)

image image image

  • 전체 시스템에 물려있어야해서, 자기 자신을 제외하고 의존을 문다.
  • 의존을 물어도 무거워지지 않을 수 있는 이유는 자바를 제외한 다른 의존성은 아예 없기 때문에


♟️ 애플리케이션 모듈 계층

image

  • 모든 모듈들을 조합하는 계층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 각 모듈들을 필요에 맞게 의존하면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게 된다.
  • 최종 그림은 아래와 같아진다.

image


♟️ 효과

image image image

  • 명확한 추상화 경계
    • ‘얘는 ~까지 알고 있어야한다’ 등의 선을 그어서 추상화를 진행한 상태였고
    • 각 모듈에게 엄격한 정의를 내려서 모듈을 설계, 그 이후 역할과 책임의 선이 명확히 그려졌다.
    • 각 모듈이 갖는 책임과 역할이 명확해서 리팩토링, 기능 변경의 영향 범위 파악 용이
    • 경계가 명확해짐으로써 기능의 제공 정도를 예측 가능하여 스파게티 코드 발생 가능성 저하
    • 역할과 책임에 대한 애매함이 없어짐으로써 어떤 모듈에서 어느정도까지를 개발되야 할지 명확

image image

  • 최소 의존성
    • 애플리케이션도 자기가 필요한 것만 구성을 하게 됨
    • 불필요한 의존성은 최소한으로 가져가게 된다.
    • 변경포인트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 멀티 모듈을 구성하는 꿀팁

Application.java 패키지 위치 변경

image

  • 보통 baemin.com의 프로젝트를 개설하게 된다면
    • com / baemin / projectName / moduleName … 순서로 패키지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 이 때 Component Scan의 Base Package는 모듈 패키지가 선택된다.
    • 멀티모듈을 구성하게 되면 괴리감이 생길 수 있다.

image image

  • 으악!
    • 주요 문제점은 Application.java 파일의 위치
    • Component Scan의 Base package가 여러 곳에서 잡히기 때문이다.
    • 해결책은 간단하게도 Application.java의 위치를 한 단계 높이는 것!

image image

  • 특히나 이 방법은 의존성, Bean 관련 실수를 없애주기 때문에 매우 추천한다.

각 모듈의 Property

image image image

  • 스프링 Property 관리의 불편함
    • 모듈마다의 Spring property yml 파일 설정
    • 애플리케이션에서 include에 일일히 추가를 해주어야함

image

  • spring-boot-custom-ymal-importer
    • 권용근님이 만드신 “독립 모듈” (ㅋㅋ)

의존성 숨기기

image image

  • 의존을 숨겨서 보호 받아야할 계층(모듈)을 숨길 수 있도록 Gradle이 지원한다.


♟️ QnA

Q. 멀티 모듈을 분리하면 어쨌거나 공용으로 사용되는 모듈이 생기기 마련인데, 공용으로 사용되는 모듈을 변경 후 배포할 때 이펙트가 어디까지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자동화를 해본 경험이 있는지? 혹은 방법이 있는지?

A. 없음. 모듈을 나누게 될 땐 엄청 많이 나누게 될거 같지만 실제로는 많이 안나눔. 프로젝트 내부에서 의존성들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는 파악이 잘 될거임. 그래서 일일히 확인하고 있음. 특별히 자동화 해둔 경험은 없음.


References

댓글남기기